[마케팅] 그로스 해킹 핵심 성과 측정 지표 용어 및 설명(ROAS, ROI, DAU, MAU, Stickiness, ACU, Churn Rate, PU, ARPU, ARPPU 등

ROAS (Return On Ad Spend)
지출한 광고비 대비 광고를 통해 얻은 수익률

ROAS에서의 광고 수익(매출)은 투자금을 빼지 않은 순수 매출(거래액, GMV)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광고의 성과를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다만,
ROAS로는 마케팅 전체의 효과와 효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ROI (Return On Investment)
사업 단위의 투자 대비 전체 수익률

ROAS는 광고 대비 성과를 측정하였다면,
ROI는 순이익(이윤)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회사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사업비(인건비, 제품 원가, 판관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DAU (Daily Active User)
하루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 수(중복 제외)

8월 22일 위 서비스 기준으로는 DAU는 533(사용자)입니다.
MAU (Monthly Active User)
월 단위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 수(중복 제외)

7월 기준으로 위 서비스는 MAU가 4,538(사용자)입니다.
주 단위 WAU(Weekly Active User)도 있습니다.
Stickiness
사용자가 서비스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에 대한 충성도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면 할수록 Stickiness가 높습니다.


충성도를 파악 위해서 추세선으로 차트를 운영합니다.
위 서비스인 경우 Stickiness가 낮아지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ACU (Average Concurrent User)
평균 동시 접속 사용자 수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평균입니다.
Churn Rate
Churn 란 제품 구매 또는 서비스 사용을 중단한 수이며, Churn Rate는 이탈률로 볼 수 있습니다.

이탈률이 높다면 줄이기 위해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Churn Rate인 경우 구독 서비스(예시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에서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U (Paying User)
매출 발생 사용자 수
거래액(매출)을 발생한 사용자 수입니다.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전체 이용자 또는 가입자가 지출한 평균 금액, 사용자당 평균 매출

특정 기간에
전체 이용자 또는 가입자가 지출한 평균 금액
즉, 사용자당 평균 매출입니다.
ARPPU (Average Revenue Per Paid User)
특정 기간에 결제한 사용자가 지출한 평균 금액

특정 기간에
결제한 사용자 1명당 객단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신규 고객 한 명 유치하는데 투입된 비용(단, 신규 방문자가 아닌 신규 서비스 이용자)

신규 고객을 한 명 유치하기 위해 사용한 비용입니다.
비용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LT (Life Time)
평균 고객 수명

LT 또는 CL이라고 부릅니다.
LTV (Life Time Value)
한 명의 유저가 서비스 이용을 종료할 때까지 지불한 기대 금액


고객 생애 가치라는 뜻으로
CLV or LTV라고 불립니다.
사용자가 첫 구매에 그치지 않고 평생 동안 우리 몰에 어느 정도 가치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법. 1과 2로 2가지가 있는 이유는
2인 경우 실 결제 사용자 기준이고, 1은 접속한 사용자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운영 중인 경우 2로 측정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