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탐험일지/마케팅 용어
[마케팅] 온라인 마케팅 광고 용어 정리(CPC, CPV, CPT, CPA, CPS, CPM, CPI)
길리버여행기
2022. 8. 18. 18:37
반응형

CPC(Cost per Click)
클릭당 단가

광고 영역 클릭 시 일정 금액이 발생되는 구조, 사용자가 상품 또는 배너 등을 클릭할 때 발생
단, 클릭이 일어나지 않으면 아무런 지출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루 지출 예산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CPV : Cost per View
조회당 비용

영상을 시청할 때마다 측정되는 방식이에요.
유튜브 말고도 타 동영상 스트리밍서비스도 같습니다.
CPT : Cost per Time
노출 시간당 비용

시간 동안 노출될 때의 발생하는 비용이에요.
원하는 시간의 구좌를 구매하여 광고를 노출합니다.
CPA : Cost per Action
소비자가 액션을 취할 때 발생되는 방식

소비자가 취할 수 있는 특정 또는 원하는 행동과 그 횟수를 지정하고 해당 목표를 달성했을 경우 광고비를 지급합니다.
액션 예시로는 이벤트, 회원 가입, 다운로드가 이에 포함됩니다.
예시인 라이나생명의 간편 상담 신청도 이에 포함됩니다.
CPS : Cost per Sales
팔리면 비용이 발생되는 방식

광고를 클릭하고 그 루트를 통해 일정 시간 내에 실제 구매가 일어나서 판매당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광고 루트 인입자에게도 일정 수익이 발생됩니다.
CPM : Cost per Mile
1,000번 노출이 되면 비용이 발생되는 방식

검색 방문자에게 1,000번의 노출 때 발생하였을 때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예시로 소비자가 10,000,000회를 봐서 10,000,000 노출이 되었고
1,000,000원이 발생되었다면 CPM는 1,000원입니다.
광고 노출만 정해진 숫자를 보장하고 이후에 대해서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CPI : Cost per Install
앱 설치 당 비용

CPA의 하위 개념으로 애플리케이션 설치당 단가입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성이나 프로모션으로 많이 사용되고, 앱 이용자 증가를 목적으로 합니다.
반응형